대한민국의 인플루엔자(독감) 예방접종은 독감으로 인한 합병증, 입원, 사망을 예방하고 의료 시스템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국가적인 공공보건 프로그램입니다.
주로 질병관리청(KDCA)이 주관하며, 국가예방접종사업(NIP)을 통해 고위험군(어린이, 노인, 임산부 등)에게 무료 접종을 제공하고, 일반 국민도 유료로 접종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최신 정보와 웹 자료를 바탕으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대상, 지원 내용, 신청 절차, 백신 종류, 효과, 부작용, 장단점 등을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1.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개요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형: H1N1, H3N2 / B형: Victoria, Yamagata)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매년 11월부터 4월까지(북반구 기준) 유행하며, 전 세계적으로 성인 5~10%, 어린이 20~30%가 감염됩니다.
한국에서는 연간 약 40만 명이 외래 방문하고, 7,000명이 입원하며, 3,000~5,300명이 사망하는 등 상당한 질병 부담을 초래합니다. 특히 노인(만 65세 이상), 어린이, 임산부, 만성질환자는 합병증 위험이 높아 예방접종이 필수적입니다.
대한민국은 1997년부터 국가예방접종사업(NIP)을 통해 고위험군에게 무료 독감 백신을 제공하며, 2015년부터 민간 의료기관으로 접종 범위를 확대해 접종률을 높였습니다. 2023-2024 시즌 기준, 노인(만 65세 이상)의 접종률은 82.2%로 높지만, 백신 효과(VE)는 22.5%로 다소 낮은 편이며, 특히 노인층에서 면역 반응이 약화되는 경향(면역노화, immunosenescence)이 관찰됩니다.
2025-2026 시즌에는 WHO 권고에 따라 백신 바이러스 구성이 업데이트되었으며, SK바이오사이언스의 세포배양 백신(SKYCellflu) 등 신기술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2. 지원 대상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고위험군과 일반 국민으로 나뉘어 운영됩니다. 무료 접종 대상은 KDCA와 CDC 권고를 기반으로 설정되며, 다음과 같습니다:
- 어린이: 만 6개월~13세(2011년 1월 1일~2024년 8월 31일 출생).
- 노인: 만 65세 이상(1959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 임산부: 임신 주수 제한 없음.
- 특정 외국인:
- 출입국관리법 제31조에 따라 외국인 등록자(외교관, 국제기구 직원 포함).
-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제6조에 따라 국내 거주 신고자.
- 만성질환자: 심장병, 폐질환, 당뇨병, 면역저하자 등(단, 무료 접종은 주로 만 50세 이상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대상).
- 만 14~64세 건강한 성인, 만성질환자(무료 대상 제외).
- 비용: 약 3만~5만 원(백신 종류, 의료기관별 상이).
- 만 6개월~59개월 어린이.
- 만 50세 이상 성인.
- 만성질환자(심장, 폐, 신장, 간, 당뇨, 암 등).
- 면역저하자(항암치료, HIV/AIDS, 스테로이드 복용자).
- 의료종사자, 요양시설 거주자, 고위험군 동거인.
3. 지원 내용
- 무료 접종:
- 제공 백신: 4가 불활성화 백신(Quadrivalent Inactivated Vaccine, QIV, A/H1N1, A/H3N2, B/Victoria, B/Yamagata 포함).
- 접종 시기: 2024-2025 시즌은 9월 20일 시작, 2025년 4월 30일 종료. 2025-2026 시즌도 유사(9월~익년 4월).
- 접종 장소: 전국 보건소, 지정 민간 의료기관(병원, 클리닉, 약국 접종 불가).
- 유료 접종:
- 3가/4가 백신, 세포배양 백신(SKYCellflu), 고용량 백신(노인용) 등 선택 가능.
- 비용은 의료기관, 백신 제조사(예: SK바이오사이언스, 사노피, GC녹십자)에 따라 다름.
- 백신 구성 (2025-2026 시즌, WHO 권고):
- 3가 백신: A/H1N1, A/H3N2, B/Victoria.
- 4가 백신: A/H1N1, A/H3N2, B/Victoria, B/Yamagata.
- 이유: 바이러스 변이로 매년 백신 구성 업데이트, 4가 백신이 표준.
- 특이사항:
- 노인(만 65세 이상): 표준용량 백신 사용, 고용량/보강 백신(MF59, 재조합 백신) 도입 필요성 제기.
- 어린이(만 6개월~8세): 첫 접종 시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 권장.
- SKYCellflu: 세포배양 기술로 변이 위험 감소, WHO 사전적격성평가(PQ) 획득.
4. 신청 절차
- 1. 대상 확인:
- 무료 접종 대상 여부 확인(연령, 임신 여부, 외국인 등록 여부).
- 만성질환자는 의사 진단서 또는 처방전 준비.
- 2. 의료기관 예약:
- 지정 의료기관 확인: NIP 홈페이지(https://nip.kdca.go.kr) 또는 모바일 앱(한국어 전용).
- 보건소 또는 민간 병원/클리닉 예약(전화, 온라인, 방문).
- 3. 방문 및 접종:
- 신분증(주민등록증, 여권, 외국인등록증), 임산부는 산모수첩 지참.
- 접종 전 문진표 작성(알레르기, 건강 상태 확인).
- 4. 사후 관리:
- 접종 후 30분 관찰(알레르기 반응 확인).
- 이상반응 발생 시 보건소(1339) 또는 KDCA(1577-4688) 문의.
- 문의처:
- 질병관리청: 1339(유료), www.kdca.go.kr.
-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www.nhis.or.kr.
- NIP 홈페이지: https://nip.kdca.go.kr.
5. 백신 효과 및 부작용
- 2023-2024 시즌:
- 전체 VE: 22.5% (95% CI: 6.6~35.8).
- 인플루엔자 A: 22.3% (A/H1N1 9.4%, H3N2 30~35%).
- 인플루엔자 B: VE 높음(구체적 수치 미공개).
- 노인(만 65세 이상): VE 낮음(면역노화로 항체 형성 약화).
- 지역별 차이:
- 유럽: A/H1N1 VE 40~59%, H3N2 30~35%.
- 캐나다: VE 60% 이상(백신-바이러스 변이 일치율 높음).
- 미국: VE 33~67% (연령, 환경별 상이).
- 효과:
- 감염 예방 효과는 제한적이나, 입원 및 사망률 감소에 기여.
- 고위험군(노인, 어린이, 만성질환자)에서 합병증 예방 효과 뚜렷.
- 일반적 부작용:
- 접종 부위 통증, 발적, 부종(4가/세포배양 백신에서 빈번).
- 발열, 근육통, 두통(1~2일 내 소실).
- 심각한 부작용(드물음):
- 길랭-바레 증후군(GBS, 2004년 1건 확인).
- 아나필락시스, 신경병증, 봉와직염(2004~2016년 12건).
- 2020년 사망 사례(59건): KDCA 조사 결과 백신과 무관, 기저질환 및 고령 요인.
- 안전성:
- 2005~2019년 부작용 보고 36건, 이 중 7건이 비표시 부작용(백신 설명서 미포함).
- 2020년 1,200건 부작용 보고, 사망 13건 조사 중이나 백신 직접 연관성 없음.
6. 장점과 단점
- 고위험군 보호: 노인, 어린이, 임산부의 입원 및 사망률 감소.
- 무료 접종: 고위험군(만 6개월~13세, 만 65세 이상, 임산부) 전액 지원, 외국인 포함.
- 접종 접근성: 전국 보건소 및 민간 의료기관에서 제공, 예약 간편.
- 세포배양 백신 도입: SKYCellflu로 변이 위험 감소, 생산 속도 향상.
- 코로나19 대응: 독감-코로나19 동시 유행 방지, 의료 시스템 부담 완화.
- 낮은 백신 효과: 2023-2024 시즌 VE 22.5%, 특히 노인층에서 낮음.
- 소득 격차: 저소득층 접종률 감소(2020년 코로나19 여파, OR 0.67).
- 접종률 하락: 코로나19로 2020~2021년 노인 접종률 감소(사회적 거리두기 영향).
- 제한된 대상: 만 14~64세 건강한 성인은 유료, 만성질환자 무료 접종 제한적.
- 부작용 우려: 드물지만 GBS, 아나필락시스 등 심각 부작용 가능성.
7. 2025년 최신 동향
- 백신 구성 업데이트: 2025-2026 시즌 4가 백신(A/H1N1, A/H3N2, B/Victoria, B/Yamagata) 권고, WHO GISRS 데이터 기반.
- 세포배양 백신 확대: SK바이오사이언스 SKYCellflu, 2025년 상반기 동남아·남미 75만 도스 수출, 변이 일치율 향상.
- 노인 VE 개선 필요: 표준용량 백신 대신 고용량/보강 백신 도입 제안.
- 코로나19 이후 접종률: 2019년 노인 접종률 84%에서 2020~2021년 하락, 저소득층 접종률 감소 지속.
- 유행 패턴: 2023-2024 시즌 A/H1N1 주도, 12월 2주차 ILI 61.3% 정점.
8. 추천 가이드
- 어린이(만 6개월~13세): 무료 접종, 첫 접종 시 2회(4주 간격), 보건소 또는 지정 의료기관 방문.
- 노인(만 65세 이상): 무료 접종, 9월~10월 조기 접종 권장, 기저질환자는 의사 상담 필수.
- 임산부: 무료 접종, 산모수첩 지참, 임신 주수 상관없이 접종 가능.
- 만 14~64세 성인: 유료 접종(3~5만 원), 만성질환자는 의사 처방전으로 보건소 문의.
- 만성질환자: 무료 접종 제한적, NIP 홈페이지로 대상 여부 확인.
- 외국인: 외국인등록증 지참,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 접종 가능(대상자 한정).
9. 결론
대한민국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고위험군(어린이, 노인, 임산부)을 중심으로 무료 제공되며, 2025-2026 시즌은 9월~익년 4월 운영됩니다.
접종률은 노인 82.2%, 어린이 70%, 임산부 약 50%로 높지만, 백신 효과는 22.5%로 제한적이며, 노인층에서 특히 낮습니다.
세포배양 백신(SKYCellflu) 도입으로 변이 일치율과 생산 효율이 개선되었으나, 저소득층 접종률 하락과 부작용 우려는 과제입니다.
접종은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가능하며, NIP 홈페이지 또는 1339로 상세 확인이 필요합니다.

